세 번째 미션인 PyTorchKorea 튜토리얼 레포에 오타 수정 PR을 수행했다.

https://github.com/PyTorchKorea/tutorials-kr/pull/509

 

beginner/basics/data_tutorial 오타 수정 by updaun · Pull Request #509 · PyTorchKorea/tutorials-kr

라이선스 동의 변경해주시는 내용에 BSD 3항 라이선스가 적용됨을 동의해주셔야 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기여하기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동의하시면 아래 [ ]를 [x]로 만들어주세요. 기여하기

github.com

 

멘토님께서 2주차 미션에 대한 공통 피드백을 전달해주셨다.

멘티 중의 상당수가 번역하면서 놓쳤던 부분들에 대해 언급해주셨다.

차주 미션을 제공하시며 오타를 쉽게 찾기 위해 hunspell 이라는 패키지를 소개해 주셨다. 

sudo apt-get install hunspell

 

특정 파일에서 한글 오타 찾기

hunspell -l 파일 | sort | uniq

 

여러 파일에서 한글 오타 찾기

hunspell -l *.py *.rst | sort

 

멘토님의 가르침을 따라 hunspell을 활용하여 오타 찾기를 시도했다.

파이썬 파일 하나만 시도해봐야지 했는데 아니나 다를까 오탈자가 눈에 보였다.

오탈자를 수정하면서 그 문단을 다시 한번 읽었는데 문맥이 이상한 부분도 발견하여 두 군데를 수정한 PR를 작성하게 되었다.

 

이번 3주차는 오프라인으로 미팅을 갖는다고 하셨다.

정말 참여하고 싶었는데 최근 코로나 재유행으로 외부 이동을 줄이기로 했기 때문에 갈 수 없었다.

온라인으로 참여했는데, 현장에 가서 함께했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 

멘티분들과 자유롭게 생각을 나누는 자리였는데, 최소 1회는 오프라인 미팅을 참여해야해서 언젠간 멘토님들 뵙게 될 것 같다.

 

중간보고서 작성을 하고 Challenges 기간이 종료된다.

그간 한 작업 내용들을 날짜순으로 정리했다.

Masters 기간에 번역도 열심히 하고 조원들과 의견 주고 받으면서 끝까지 달려야겠다!!

두 번째 미션인 연습용 레포지토리에 페이지 번역에 대한 PR 올리기이다.

https://github.com/hyoyoung/22-tutorials-ex/pull/23

 

prototype_source/skip_param_init 번역 (#21) by updaun · Pull Request #23 · hyoyoung/22-tutorials-ex

관련 이슈 번호 이슈 번호: #21 PR 종류 오탈자를 수정하거나 번역을 개선하는 기여 번역되지 않은 튜토리얼을 번역하는 기여 공식 튜토리얼 내용을 반영하는 기여 위 종류에 포함되지 않는 기여

github.com

 

1주차 오리엔테이션을 기반으로 연습용 레포지토리에 번역을 해서 Pull Request를 올렸다.

파이토치 튜토리얼만 해도 멘티가 15명 정도가 되어 4명씩 조를 편성하게 되었다.

나는 C조에 편성되었고, C조는 prototype_source에서 파일을 하나 정해서 번역을 시도하는 것이었다.

 

파이토치 튜토리얼을 정독하지 못해서 그럴 수도 있지만, 생소한 것들이 많아서 쉬운 내용을 찾아서 번역을 시도했다.

그래도 쉬운 내용인 파라미터 초기화 건너뛰기에 대해서 진행했다.

 

번역을 해야하는 부분이 있고, 영어로 표기해야할 부분들이 있었다.

최대한 자연스럽게 번역하기 위해 여러 번 읽어보면서 문장을 수정했다.

번역기도 많이 사용했는데, 영어를 먼저 일본어로 번역하고 그 이후에 영어로 번역하면 자연스럽다고 들어 그렇게 시도했다.

 

다소 부족한 번역이었는데 PR을 올렸더니, 잘잘한 실수들을 C조 팀원에서 리뷰를 해주셨다.

번역을 혼자서 하는 것이 아니라 팀원분들의 좋은 의견을 들을 수 있어서 좋았다. 

 

OSSCA는 Challenges 프로그램과 Masters 프로그램으로 나뉘는데, 지금은 Challenges 프로그램 중에 있다.

본격적으로 오픈소스 기여를 하기 전 준비 단계인 것이다.

내가 번역한 페이지를 Masters 기간에 PyTorchKorea/tutorial-kr 레포지토리에 PR을 올릴 수 있을 것 같다.

첫 번째 오픈소스 기여라 기대가 된다.

PyTorchKorea/tutorial-kr 빌드 성공한 화면이다.

 

멘티로 선정된 후 디스코드 채널에 초대되었다.

7월 9일 온라인 발대식이 진행되었다. 팀이 많다보니 3일 동안 나눠서 진행했는데, 파이토치 튜토리얼 번역은 7월 9일 그룹에 포함되어 진행되었다.

개인 일정이 있던 터라 메타버스 플랫폼 게더타운? 에 로그인만 하고 들어가 있었다. 많은 이야기가 오갔을 것 같은데 듣지 못해 아쉬웠다.

멘티들을 위해 공통 교육이 오픈되었는데, Github 사용 및 Git 사용 기초에 대해서 강의가 오픈되었다. 아쉽도 이것 역시 개인 일정이 있던 터라 수강하지 못했다. 특강을 해주기 때문에 오픈소스 기여하는 것에 주저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이 점을 알고 지원하게 되면 좋겠다.

 

파이토치 튜토리얼 팀은 매주 일요일 밤 10시에 주간 회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 내용은 디스코드에서 투표를 통해 다수결로 결정되었다. 주말이긴 하지만 부담되지 않는 시간이라 좋았다.

첫 번째 모임 7월 17일 전까지 PytorchKorea/tutorial-kr repository를 빌드해보는 것이 미션이었다.

멘토분들이 일부러 정보를 최소화하고 미션을 주셨다고 했다.

평소 오픈소스를 세팅한 것처럼 Windows에 바로 시도하다가 make 라는 명령어 세팅부터 막혀 다른 방법을 찾아야 했다.

wsl을 활용하면 하이퍼 가상환경으로 Windows에 Ubuntu 환경을 설치할 수 있었다.

에러가 상당수 발생했지만, 구글링하여 극복하고 빌드를 성공하게 되었다.

 

빌드를 할 때, make html-noplot 이라는 명령어로 빌드를 진행했는데, 멘토님이 저 명령어로 빌드를 하라고 해서 그렇게 했지만, OT 때 알고보니 파이토치 튜토리얼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래프를 제공하는데 noplot 아닌 기본 빌드를 하면 GPU 2장으로도 꽤 오랜 시간이 걸린다고 하셨다.

빌드를 마치고, 7월 17일에 첫번째 주간회의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지, 저번 년도에 아쉬웠던 점을 기반으로 올해의 진행방향을 알려주셨다.

많은 양을 번역하지 않더라도, 좋은 기억이 남는 한 줄의 번역이라는 멘트가 기억에 남는다.

번역에 대해서 깊게 고민하지 않았었는데, 생각보다 고려해야할 것들이 많이 있어서 신기했다.

번역과 기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주셨고, 다소 생소한 개념들이 등장해서 걱정이 조금 되었다.

 

다음 주차 미션은 연습용 레포지토리에 번역을 한번 해보는 것이다.

https://github.com/hyoyoung/22-tutorials-ex

 

GitHub - hyoyoung/22-tutorials-ex

Contribute to hyoyoung/22-tutorials-ex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연습용 레포지토리는 멘토님께서 만들어주셨다.

멘토분들이 전문가분들이라 OSSCA가 정말 좋은 경험이 되고, 성장하는 것에 많이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유튜브에서 개발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는 채널을 구독하고 틈틈히 시청하면서 정보를 얻고 있습니다.

그 중에 큰돌의 터전이라는 채널이 있는데, 인프런 및 유튜브에서 CS 강의와 알고리즘으로 유명하신 분이죠!

그 분의 채널을 구독하면서 있다가 한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https://youtu.be/WjDtJ4UnWDs

 

오픈소스에 컨트리뷰터가 되는 것은 개발자로서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전부터 해보고 싶었지만 도저히 엄두가 나지 않았었습니다.

정보통신산업부(NIPA)가 주관하여 2022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아카데미를 진행한다는 사실을 알고 지원할 수 있었습니다.

 

기존 경험이 없고 난이도도 높아 보였습니다. 준비가 부족했던 터라 떨어질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지원했습니다.

다행히도 선정되어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습니다!

새로운 개발 모임에서 실력 있는 개발자 분들을 많이 만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지난 번 데이크루를 했던 것처럼 주차별로 활동 내역을 기록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지원한 분야는! 파이토치 튜토리얼 번역!

https://github.com/PyTorchKorea/tutorials-kr

 

GitHub - PyTorchKorea/tutorials-kr: 🇰🇷파이토치에서 제공하는 튜토리얼의 한국어 번역을 위한 저장소

🇰🇷파이토치에서 제공하는 튜토리얼의 한국어 번역을 위한 저장소입니다. (Translate PyTorch tutorials in Korean🇰🇷) - GitHub - PyTorchKorea/tutorials-kr: 🇰🇷파이토치에서 제공하는 튜토리얼의 한국어

github.com

 

지원한 이유는 인공지능 개발자로서 현존 가장 유명한 프레임워크인 파이토치를 항상 가까이 해야한다는 생각이었고, 공부에 강제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번역은 한 번도 해보지 못 했지만, 번역기의 도움을 받아 도전해볼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오픈소스에 기여하는 첫 번째 과정이고, 이를 시작으로 더 많은 오픈 소스에 기여할 수 있게 되면 좋겠습니다.

 

+ Recent posts